요즘 유치원 선택에 대해 관심을 갖고 계신 분들이 참 많습니다.
저 또한 작년에 어느 유치원을 보내야하는지, 어린이집을 계속 보내야 하는 건지 막막했던 시간이었습니다.
지인 중에 또래 아이를 키우는 사람이 없어서 더욱 막막했죠.
그렇지만 평소에도 아이 교육에 관심이 많던 저는 많은 정보를 알아보기 시작했어요.
일단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차이가 무엇일까? 싶었어요.
맞벌이 하는 집은 어린이집 많이 보낸다고 하는데 왜 그러는지.
어떤 차이가 있어서 맞벌이 가정이어도 유치원을 선택하는 것인지에 대해 궁금했습니다.
특히나 이 내용은 현재(22년 기준) 4살 아이의 부모님이 주목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내년 우리 아이의 기관을 선택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리라 믿습니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차이점을 알려드립니다.
- 관리기관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가장 큰 차이는 관리기관이 다릅니다.
어린이집은 보건복지부 소속이고 유치원은 교육부 소속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의 자격, 운영 방법, 지원과 혜택이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 입소대상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입소 나이가 다릅니다.
어린이집은 만 0세부터 만5세까지 보낼 수 있습니다. 영유아가 가능한 기관입니다.
유치원은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 보낼 수 있습니다. 유아들만 들어갈 수 있는 기관인 거죠.
어린이집과 유치원은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 보낼 수 있어서 선택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엄마들이 많이 고민하는 시기가 유치원을 보낼 5세에 어디로 보낼까? 큰 고민에 빠지게 되는 거죠.
- 기관의 초점 및 기능
어린이집은 보육과 교육에 초점이 맞춰 있습니다.
대부분이 많이들 생각하시는 보육에 초점이 크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운영시간이 길어요.
그래도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는 교육의 비중도 늘어난다고 보시면 됩니다.
유치원은 교육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교육부 소속이기 때문이죠.
- 기관 운영 시간
운영시간이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어린이집의 경우 연중 365일 운영하게 됩니다.
방학이 있기도 하고 없는 어린이집도 있습니다.
예전에 아들을 보냈던 어린이집은 맞벌이 가정이 많아서 로테이션으로 교사분들 휴가 가시고 별도 방학은 없었습니다.
방학이 있어도 자율등원의 기간으로 보낸다고 하면 보낼 수 있습니다.
그리도 등원은 오전 7시 30분부터 오후 7시 30분에 가능합니다.
시간 연장제로 더 늦게까지 운영하는 어린이집도 꽤 있다고 알고 있어요.
저희 집 근처에는 외벌이 가정이 많으신지 다들 빠른 하원해서 항상 저희 아이만 남았던 기억이 있네요.
유치원의 경우 연간 180일 이상 운영 규칙이 있습니다.
방학이 있고 못 보내는 기간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유치원은 방학이 1주일 정도입니다. 길게는 한 달까지도 있다고 합니다.
지금 보내고 있는 유치원의 경우 2주일이 방학인데 1주일은 못 보내는 방학이고 남은 1주일은 자율등원 기간입니다.
등원은 대부분 8시부터 가능하고 하원은 최대가 대부분 6시, 6시 30분이었습니다. (저희 동네 기준)
기본 운영 시간은 오후 1시 30분까지가 기본입니다. 그 이후는 연장, 종일반/ 방과 후 운영을 합니다.
- 가정 월 부담금
이 부분이 가장 많이 차이가 나는 것 같아요.
어린이집을 보낼 때는 국가에서 지원이 되기 때문에 보통 특별활동 비용 정도 추가 납부합니다.
저도 어린이집을 보낼 당시 10만 원 안으로 비용이 들었습니다.
대략 어린이집 월 부담금이 5~10만 원정도입니다.
어린이집, 유치원마다 차이는 있습니다.
유치원은 국가에서 지원되는 부분도 있지만 추가 비용이 어느 정도 있습니다.
어린이집보다 특별활동 내용들이 다양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비용 부분에서도 크게 늘어납니다.
방과 후 활동을 하느냐, 종일반을 선택하느냐 등 여러 선택에 차이가 있으시겠지만 보통 일반 유치원의 경우
월 부담금은 10~50만 원 사이입니다.
주변 유치원을 확인해 보니 보통 30만 원대로 확인되었습니다. (방과 후, 종일반, 차량 모두 할 경우)
여기서 영어유치원의 경우 더 금액은 올라가게 됩니다.
- 기관의 교육 내용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교육 내용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
정부에서 두 기관 모두 차별 없이 동일한 교육 내용을 가르치도록 제공한다고 합니다.
[누리과정]은 동일합니다.
- 기관 교사 채용의 기준
기관의 교사 채용의 기준이 다릅니다.
어린이집은 보육 교사 자격을 이수하고 자격증을 취득하면 어린이집에서 교사로 채용될 수 있습니다.
아동 관력 대학에서 취득이 가능하죠.
유치원의 경우 유아교육과에서 졸업을 해야 할 자격증 취득을 해야 가능합니다.
유치원 교사 자격이 되어야 합니다.
관장 부소가 달라서 자격증 이름이 다르지만 자질과 능력의 차이는 크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 선생님의 인성과 자질, 아이를 대하는 태도가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싶네요.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선택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육아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유수유 술 마신 뒤 언제부터 가능할까? (2) | 2024.03.25 |
---|---|
유소도예 김포 원데이클래스 6세 키즈 남아의 취미생활 (0) | 2023.01.04 |
일반유치원과 영어유치원의 차이, 그리고 우리아이는 어느 유치원? (0) | 2022.10.01 |
어린이 칼슘 영양제 먹어야 하는 이유(feat.꾸미베어스) (0) | 2022.09.22 |
아연을 꼭 먹이세요! 닥터라인 징크 키즈 아연 효능 알아가기 (0) | 2022.09.14 |
댓글